top of page

공룡 플랫폼의 오명, ‘틱톡’ 스파이 앱 의혹



플랫폼 서비스 국정감사

플랫폼을 상대로 진행되는 대대적인 국정감사가 장안의 화제입니다. 플랫폼 사업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만큼 그에 대한 규제 대응도 시급해 보이는데요. 이 부분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곳은 단연 ‘틱톡’입니다. 최근 총 가입자 수가 무려 10억명을 돌파하며 무서운 성장세를 보여주는 틱톡, 이제 세계 최고의 플랫폼 사업 중 하나라고 봐도 무방하죠? 히지만 몇 년째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논란이 ‘데이터 무단 수집’입니다.


틱톡은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유출시킨다?

2019년 1월, 미국의 비영리 싱크탱크 '피터슨 국제경제정책연구소'가 보고서 하나를 발표합니다. 제목은「The Growing Popularity of Chinese Social Media Outside China Poses New Risks in the West (중국의 급성장하는 소셜미디어가 서구에 새로운 위협이 되고 있다)」. ' 입니다. PIIE 보고서가 '위협'이라 칭한 사안은 틱톡 사용자들의 개인정보 유출입니다. 이것이 단지 개인 차원의 피해를 넘어, 국가 안보의 위협 요소로 작용한다는 게 PIIE의 입장인데요. 특히 틱톡은 다른 플랫폼에 비해 수집되는 정보가 지나치게 많고 이에 대하여 중국 정부의 접근이 용이하다는 점을 근거로 하고 있습니다.



PIIE의 보고서에 따르면 틱톡은 이용자 본인이 업로드한 동영상에 기록된 개인의 정보뿐 아니라, GPS 정보, IP 주소, SIM 카드 기반 위치정보, 단말기 정보, 주소록, 문자메시지 등을 수집합니다. 단지 동영상 공유 앱인데 말이죠. 이렇게 전 세계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틱톡 본사로 보내져 중국에 저장되는데, 이 데이터를 '안보상 당국의 정보 수집 활동'이라는 명목으로 중국 정부가 열람할 수 있다는 점이 문제입니다. 위 내용을 골자로 한 PIIE 보고서는 큰 화제를 모았고, 결국 '틱톡 사태'라는 국제 이슈를 촉발시켰습니다. 전 세계 틱톡 가입자들의 개인정보를 중국 정부가 수집한다, 라는 내용 때문에 '스파이 앱'이라는 꼬리표가 생겨난 것이죠.



틱톡 측의 완강한 부인

"틱톡 사용자 데이터는 틱톡 앱을 통해 전송되지 않는다."


당연히 틱톡 측은 이를 강력하게 부인해오고 있어요. 국내에서도 한국의 데이터는 미국에 저장한다고 강하게 어필하고 있고, 미국/유럽 등의 국가에도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있으니 우려할 문제가 아니라고 홍보하고 있습니다.


계속되는 소송, 과연 진실은?

하지만 이런 노력이 무색하게 여러 국가에서 소송으로 고난을 겪고 있는데요. 지난 2019년 틱톡은 어린이들로부터 개인정보를 불법 수집한 혐의로 미국 연방거래위원회로부터 사상 최대인 570만 달러(약 63억7000만원)의 벌금을 부과받았습니다. 또한 인도에서는 틱톡이 퇴폐 문화와 포르노를 장려한다는 이유로 일시적으로 사용이 금지되기도 했죠. 그리고 현재, 영국에서 틱톡은 현재 정보위원회로부터 유사한 데이터 위반에 대한 조사와 더불어, 영국을 비롯한 유럽에서 수백만 명의 아이들의 개인정보를 불법적으로 수집한 혐의로 수백억 파운드대 소송을 당했는데요. 이 고난을 틱톡은 어떻게 극복할까요?


 

뉴스레터 디귿이 준비한 플랫폼 틱톡 이슈, 잘 보셨나요? 유펜솔루션은 누구나 데이터를 손쉽게 수집, 정제,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가치를 창출하는 ✨데이터 민주주의✨를 꿈꾸고 있어요. 스파이더킴 홈페이지에 방문해 원하는 정보를 간편하게 수집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오늘의 포스팅, 유익했나요? 뉴스레터 디귿은 오늘의 포스팅 속 데이터 뉴스를 가지고 매주 화요일, 당신의 메일함으로 찾아간답니다! 뉴스레터 디귿을 구독하고 싶다면? 여기 클릭!


​ 👇코딩 없이 클릭만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싶다면? 스파이더킴!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Comentário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