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에서 인기 있는 유럽 정치인은 누구일까요? 유럽 정치인의 개인 트위터 계정들을 크롤링 하여 분석하고 시각화한 사례를 소개합니다.
유럽 정치인의 개인 트위터 계정들에서 (1) 팔로워 수 (2) 전체 트윗 (3) 트윗별 좋아요 수만 크롤링 하면 이와 같은 분석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시각화 기법을 활용하면 비교적 간단한 작업을 통해 한눈에 쏙 들어오는 그래프들을 도출해 낼 수 있습니다.
[1] 유럽 정치인의 트윗 당 평균 좋아요 수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남성, 1977년생)이 3,000 이상, 사울리 니니스퇴 (핀란드 대통령, 남성, 1948년생)가 2,800 이상의 트윗 당 평균 좋아요 수로 1위 그룹을 형성했습니다.
마테우슈 모라비에츠키 (폴란드 총리, 남성, 1968년생)와 주자나 차푸토바 (슬로바키아 대통령, 여성, 1973년생)가 1,200 이상으로 2위 그룹을 형성했습니다.
잉그리다 시모니테 (리투아니아 총리, 여성, 1974년생)가 5위,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 남성, 1972년생)가 6위, 기타나스 나우세다 (리투아니아 대통령, 남성, 1964년생)가 7위를 잇고 있습니다.
안드레아스 노를렌 (스웨덴 국회의장, 남성, 1973년생), 니콜라에 치우카 (루마니아 총리, 남성, 1967년생), 보루트 파호르 (슬로베니아 대통령, 남성, 1963년)가 하위권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 유럽 정치인의 트위터 팔로워 수
팔로워 수 1위는 압도적인 차이로 마크롱 대통령입니다. 2022년 9월 현재 마크롱 대통령은 859만 명 이상의 트위터 팔로워 수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위는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 남성, 1972년생)로 173만 명 이상, 페드로 산체스가 169만 명 이상으로 3위입니다.
트윗 당 평균 좋아요 수에서는 높은 순위를 기록하지 못한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남성, 1958년생)가 57만 명 이상으로 4위, 모라비에츠키 총리가 57만 명 이상으로 5위, 산나 마린 (핀란드 총리, 여성, 1985년생)이 56만 명 이상으로 6위입니다.
아니타 데메트리오 (키프로스 국회의원, 여성, 1985년생), 로베르트 아벨라 (몰타 총리, 남성, 1977년생), 치우카 총리가 하위권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3] 트윗 당 평균 좋아요 수와 팔로워 수의 상관관계
트윗 당 평균 좋아요 수와 팔로워 수 사이의 상관 계수 (correlation coefficient)의 0.6721 정도 됩니다. 좋아요 수가 많을수록 팔로워 수가 많다, 팔로워 수가 많을수록 좋아요 수가 많다가 0.6721 정도로 양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다만, 이는 두 변수 간의 단순 상관관계이며 좋아요 수, 팔로워 수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다양한 관점에서 보충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트위터 상에서 마크롱 대통령의 인기 요인으로 (1) 그의 집권 기간이 길다 (2) 그는 불어 뿐만 아니라, 같은 내용을 영어, 아랍어 및 그 외 다른 언어로 포스팅한다는 내용을 제시한 댓글이 눈에 띕니다. (3) 유럽 각국의 인구나 인터넷 사용 성향 (4) 정치인 개인의 성별과 나이 (5) 정치인의 트윗 주제와 정치적 성향 등을 변수로 채택하여 분석하면 더욱 재미있는 결론을 얻을 수 있을 듯합니다.
[4] 인기 있는 트윗을 가장 많이 포스팅한 정치인은?
역시 마크롱 대통령입니다. 좋아요 수가 많은 상위 1,000개의 트윗 중에서 마크롱 대통령이 올린 트윗이 700개에 육박합니다.
산체스 총리가 100개에 근접하는 수치로 2위, 니니스퇴 대통령이 50여 개로 3위이며, 두다 대통령이 4위, 카야 칼라스 (에스토니아 총리, 여성, 1977년생)가 5위, 마린 총리가 6위를 잇고 있습니다.
데이터를 통해 살펴보니, 마크롱 대통령이 트위터에서 어느 정도 인기가 있는지 수치적으로 파악됩니다.
웹 데이터의 수집과 활용, 트위터 데이터의 크롤링과 분석은 유펜솔루션과 상의해 주세요!
(본 포스팅은https://www.reddit.com/r/dataisbeautiful/comments/x0qqzb/oc_most_popular_eu_leaders_on_twitter/ 의 데이터, 분석 기법, 시각화 결과물을 활용하여 재구성하였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