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여러분은 보드게임 좋아하시나요? 2019년 세계 보드게임 시장 규모는 약 131억 달러였으며 향후 몇 년 안에 크게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실제로 지난 60년 동안 출시된 보드게임 수가 급격히 증가했는데요. 이러한 경향은 새로운 비즈니스와 제품이 보드게임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그림1)
이 글에서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성공적인 보드게임 설계를 위한 방법을 제시합니다. R을 이용해 20K이상의 보드게임에 대한 탐구 데이터 분석(EDA)을 수행합니다.
데이터 수집
데이터 세트에는 보드게임 및 카드게임 콘텐츠 커뮤니티인 BGG(BoardGameGeek)의 20,343개 보드게임에 대한 속성과 등급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데이터 세트는 Kaggle에서 얻었으며 여기서 접속할 수 있습니다.
탐구 데이터 분석
이번 분석은 연구 질문을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높은 평점을 가진 보드게임의 특징은 무엇입니까?
종속변수인 평균 평점은 0-10 척도의 숫자 변수입니다. 평균 평점의 밀도 곡선(density curve)은 왼쪽으로 살짝 치우쳐 있으며 평균은 6.4입니다. (그림2 참고)
(그림2)
복잡성 평균에 따른 평균 평점
복잡성 평균은 척도 0-5의 숫자 변수입니다. 복잡성 점수가 높으면 플레이어들은 게임을 상대적으로 복잡하다고 인식하는 반면, 복잡성 점수가 낮으면 플레이어들은 게임이 비교적 단순하다고 생각합니다. 복잡성 평균의 밀도 곡선은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으며 평균은 2입니다(그림 3). 그림 4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복잡성 평균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 평점도 증가합니다. 두 변수 간의 연관성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데이터들을 복잡성 점수에 따라 사분위수로 나누고 평균 평점에 대한 4개의 그룹을 표시했습니다(그림 5). 이는 복잡한 보드게임이 BGG 사용자들에게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시켜주며, 낮은 수준의 게임들과 매우 높은 수준의 게임들 사이에 평균 평점에서 1점 이상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림3)
(그림4)
(그림5)
플레이 시간 별 평균 평점
플레이어들은 긴 게임을 선호합니다. 그림 6은 플레이 시간과 평균 평점 사이의 긍정적인 관계를 보여주며, 플레이 시간이 90분이 넘는 게임이 다른 모든 플레이 시간 그룹에 비해 플레이어들 사이에서 더 인기가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림6)
플레이어 수 별 평균 평점
플레이어 수에 대한 정보는 두 가지로 나뉩니다: 최소 플레이어 수와 최대 플레이어 수. 평균적으로 최소 한 명의 플레이어를 위해 설계된 보드게임은 유연성 때문에 다른 모든 그룹에 비해 평점이 높습니다(그림 7). 놀랍게도 최대 한 명의 플레이어를 위해 설계된 보드 게임(즉, 단독 게임)도 멀티플레이어 보드 게임에 비해 평균적으로 더 높은 평점을 받습니다(그림 8).
(그림7)
(그림8)
게임 컨셉 별 평균 평점
그림 9는 전략 게임이 다른 모든 컨셉에 비해 높은 평균 평점과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줍니다. 전쟁 게임과 테마성 게임은 그 다음이네요. 각 컨셉 별로 인기를 조사하여 표시되는 게임 수를 보면 전략 게임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지만 인기에서는 전쟁 게임 역시 뒤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그림 10).
모든 컨셉 중에서, 어린이 게임은 평균 평점이 더 낮습니다. 우리의 결과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연령을 포함한 인구통계학적 데이터를 갖고 있어야 할 것입니다.
(그림9)
(그림10)
결론 도출
높은 평점을 받는 보드게임의 특징은 무엇인가?
1. 높은 복잡성: 평균적으로 높은 복잡성 점수를 가진 보드게임이 더 높은 평점을 갖는다.
2. 긴 플레이 시간: 평균적으로 플레이 시간이 90분이 넘는 보드 게임이 다른 게임에 비해 평점이 높다.
3. 인기 컨셉: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컨셉은 전쟁게임, 테마게임, 전략게임이다.
4. 최소 한 플레이어: 최소 한 플레이어용으로 설계된 보드게임이 평균적으로 평점이 더 높다.
5. 솔로 게임: 평균적으로 한 명의 플레이어를 위해 고안된 보드게임은 더 높은 등급을 지니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시장조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보드게임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분야에 대해 시장조사를 하고 싶다면, 지금 바로 스파이더킴에 방문하세요!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