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게시물은 김은택·김정빈·금경조 (2019). 인스타그램 위치정보 데이터를 이용한 을지로 3·4 가 지역 활성화의 실증분석. <서울도시연구>, 20권 2호, 19-35. 을 인용하였습니다.
SNS에는 사람들의 다양한 생각과 정보가 공유되고, 사용자들의 경험과 활동 흔적이 데이터로 남습니다. SNS 빅데이터를 활용해 이용자들의 오프라인 이용 행태와 패턴 파악이 가능할까요?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서울연구원’의 <서울도시연구>에서 발간한 ‘인스타그램 위치정보 데이터를 이용한 을지로 3·4가 지역 활성화의 실증 분석’ 연구에서는 웹 크롤링으로 인스타그램 데이터를 수집하여 을지로 3·4가 지역의 발전 양상에 대한 실증 분석을 시도하였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인스타그램 데이터로 어떻게 지역 활성화 양상을 분석했는지 차근히 살펴보겠습니다.
그 후, 웹 크롤링을 통해 장소명, 위치정보, 작성일시를 수집하여 표 형태의 데이터셋을 구축합니다.
데이터 시각화는 공간정보 데이터 분석은 물론 지도 제작이 가능한 소프트웨어인 ArcGIS 툴을 이용했는데요. 시간과 내용에 따라 데이터를 분류하고 지도 평면상에 아래 사진들과 같이 표기해줍니다.
이렇게 인스타그램 위치정보를 시각화하여 살펴보니, 2013년~2014년에는 을지면옥, 만선호프 등 오랜 시간 을지로 일대에 자리 잡은 직장인 대상 점포나 명문 노포 위주로 태그 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스타그램 포스트 위치 정보 분포 분석(2013-2014년), 김은택 외(2019), p. 28
이후, 2016년부터는 점차 커피한약방, 호텔수선화 등 카페나 맛집 등이 부각되고 지역 활성화가 시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죠.
인스타그램 포스트 위치 정보 분포 분석(2016년, 누적), 김은택 외(2019), p. 29
2018년에는 분카샤, 호텔수선화, 커피한약방과 같은 카페나 맛집은 물론 우주만물 같은 빈티지샵도 많은 인기를 누린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 을지면옥, 만선호프 등 기존 노포들의 이용도 눈에 띄는데요.
새로운 젊은 문화와 기존 상권이 공존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스타그램 포스트 위치 정보 분포 분석(2018년, 누적), 김은택 외(2019), p. 29
이 연구는 지역 활성화를 관찰이나 탐방이 아닌, 실제 도시 이용자인 인스타그램 사용자 데이터에 기반해 실증했다는 것이 특징적인데요.
인스타그램 데이터가 모든 계층을 대변할 수는 없지만, 인스타그램 주 이용 계층을 타겟으로 하는 업종들에서 도시 문화 트랜드나 상권 분석을 하기 위한 의미있는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웹 데이터의 활용 가능성은 무한합니다. 스파이더킴을 통해 웹 데이터를 수집하고 더 높은 데이터 활용 가치를 창출하세요!
Comentá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