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데이터 분석] 코로나 블루, 당신의 마음은 안녕하십니까?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질병에 대한 걱정,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외출 및 대인 관계 감소, 경제적 손실 등이 만연해지자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우울감을 표현하는 '코로나 블루'라는 신조어가 등장하였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정말로 사람들의 정신 건강에 영향을 주는지, 관련 포럼의 게시물을 크롤링한 데이터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그래프를 보면, 코로나 바이러스가 등장하고 이후 상황이 지속되면서 건강을 포함한 사람들의 우려가 예전보다 2배 이상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 팬데믹이 심각해지면서 건강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 블루와 관련해서 정신건강문제에 초점을 두며 불안장애 포럼, 우울증 포럼, 코로나 바이러스 포럼을 중심으로 분석을 해보고자 합니다.



| 데이터 수집 및 추출


본격적인 분석을 위해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 파이썬 오픈 소스 Scrapy 프레임 워크를 사용하여 웹 크롤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합니다. 데이터는 우울증 포럼, 불안 장애 포럼, 코로나 바이러스 포럼을 포함하여 4902개의 사용자 게시물을 크롤링했습니다. 구체적으로 2018년 12월부터 2020년 9월까지 게시물을 수집했습니다. 이를 통해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발생 전과 후 불안 및 우울증 관련 게시물을 비교해보겠습니다.


| 데이터 분석


1. 코로나19 전•후 관련 포럼 게시물 빈도수 분석




우선 3개 포럼의 게시물 빈도수를 분석했습니다.

분석 결과 불안 장애 포럼의 게시물 수가 2020년 2월부터 4월까지 크게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있습니다. 대조적으로, 우울증 포럼의 전체 게시물 수는 같은 기간 동안 유사한 빈도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코로나19가 언급된 불안, 우울증 포럼 게시물 비율 분석



​위는 불안 장애 포럼, 우울증 포럼에서 코로나19가 언급된 게시물의 비율을 분석한 것입니다.

추세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 19에 대한 언급이 포함된 게시물의 비율이 불안 장애와 우울증 포럼 모두에서 증가했습니다. 불안 장애 포럼의 게시물 수는 코로나 초기(2020년 봄)에 더 많았고 우울증 포럼의 게시물 수는 코로나가 장기화 되어간 2020년 늦여름에 더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코로나19 전•후 우울증, 불안 장애 포럼 주요 키워드 평균 빈도수 분석


3-1. 주요 키워드 제시 <우울증 코드북에 포함된 키워드>



<불안 코드북에 포함된 키워드>


* 코드북: 코딩 작업을 할 때의 안내서로서 코드의 관리 및 정보 처리 시스템의 효율성을 위하여 필요한 안내서의 일종으로, 코드의 사용이나 관리를 위한 대상이 되는 코드를 수록한 것

우선, 우울증과 불안 관련 포스팅을 조사하기 위해 우울증과 불안 장애를 진단하는 데 사용되는 정신 건강 목록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코드북을 만들었습니다.

그럼 이제 코드북으로 코로나 상황이 사람들의 우울과 불안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세 포럼 게시물 텍스트에서 코로나 전후로 위의 코드북 키워드의 빈도수를 분석하였으며, 아래의 이미지로 분석결과를 확인하겠습니다.

3-2. 코드북 기반 각 포럼 주요 키워드 평균 빈도수 분석

● 코로나19 전•후 우울증 주요 키워드 평균 빈도수



● 코로나19 전•후 불안 장애 주요 키워드 평균 빈도수




코로나 전•후 우울증, 불안 장애 주요 키워드의 빈도수를 토대로 분석을 한 결과입니다. 코로나 19 발생에 따라 우울증, 불안 장애 포럼의 게시글 내에서 코드북 키워드 수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발견은 코드북 개발을 위한 소스로 우울증 및 불안 목록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했음을 나타냅니다. 앞서 코로나 19 대유행 과정에서 불안 장애 포럼의 게시물 빈도는 증가했지만 우울증 포럼의 게시물 빈도는 증가하지 않았음을 상기해봅시다. 그러나 위의 막대 그래프에서 우울증 포럼 게시글 내에 우울증 관련 키워드의 사용 증가를 알 수 있습니다. 연구 결과는 전반적인 우울증 게시물의 빈도가 코로나 상황에서 증가하지는 않았으나, 해당 포럼을 이용하는 개인들의 우울증 관련 증상의 강도나 심각성이 증가했음을 시사합니다. 4. 코로나 포럼에서의 불안, 우울증 키워드 빈도수 분석 아래 그래프에서는 코로나 포럼에서 불안과 우울증 키워드 빈도를 알아봤습니다.


Covid-19 포럼에서는 불안 키워드가 우울증 키워드보다 더 빈번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으며 사용자가 Covid-19 유행병을 불안감과 연관시킬 가능성이 더 높음을 시사했습니다.



| 결론


다양한 분석을 통해 코로나 19 전염병에 대한 불안과 우울증이 증가하지만 불안과 우울증의 경험은 차별화된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또한 의료 사업자는 위 분석 결과를 자신의 커뮤니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추후 연구에서는 코로나 19 발생 기간 동안 환자와의 더 나은 의사소통을 위해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해야 함을 권장할 수 있습니다.

스파이더킴을 통해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물을 크롤링 하여, 사회 현상에 대한 인사이트를 도출해보시기 바랍니다.






Commenti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