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에이티즈도 브레이브걸스도 NFT!; NFT에 눈 뜬 엔터업계



서론

NFT가 팬덤 문화에도 스며들었습니다. 엔씨소프트는 글로벌 팬덤 플랫폼 유니버스(UNIVERSE)가 '에이티즈(ATEEZ)'의 한정판 대체불가능한토큰(NFT) 굿즈를 선보인다고 밝혔는데요. 최근 케이팝 아티스트 개개인은 물론 대형 기획사들이 잇달아 NFT 시장에 진출하고 있어요. 가수 세븐은 최근 2년 5개월 만에 신곡 ‘모나리자’를 NFT음원으로 발매해 단 한 사람만 구매할 수 있게 했는데요. 모나리자는 최저 가격 1000만원으로 경매를 진행해 지난 13일 마감했다고 합니다. 낙찰자에겐 음원 스트리밍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제작자의 디지털 권리를 양도해준다고 하네요.

국내 4대 기획사 중 하나인 JYP엔터테인먼트는 지난달 블록체인 업체 두나무와 K팝 NFT 플랫폼 사업을 위한 업무 제휴를 맺었습니다. 현재 JYP엔터에는 2PM, 트와이스, 있지(ITZY) 등이 소속돼 있는데, 이들 아티스트의 앨범·굿즈(기획상품)가 NFT화될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이죠.


두나무는 이 협약 뿐만 아니라 최근 브레이브걸스의 신곡 일러스트와 매드몬스터 재발매 싱글 특별 영상 등 최근 인기 있는 K팝 아티스트와 관련된 NFT를 발행했어요. 한국관광공사 광고로 주목을 받은 밴드 이날치의 히트곡 ‘범 내려온다’ 역시 NFT로 발매됐으며, 선미, 어반자카파 등이 소속된 어비스컴퍼니도 NFT 플랫폼 디파인과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니, 이제 엔터업계에서 NFT가 얼마나 큰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지 감이 오시죠?


엔터업계와 NFT

엔터테인먼트업계가 NFT에 주목하는 이유는 NFT가 갖는 고유성과 희소성의 가치 때문입니다. 2000년대 들어 음악은 디지털 음원 스트리밍이 보편화하면서 CD 등 실물 음반을 사서 음악을 ‘갖는’ 것이 아닌 불특정 다수가 ‘공유’하는 개념으로 통했어요. 그러나 소유권과 판매 이력 등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위조가 불가능하고, 고유의 인식값이 있어 교환이 불가능한 NFT가 등장하면서 음악이 다시 소장 가능한 자산이 된 것이죠.


이 같은 NFT의 특성은 팬덤을 기반으로 하는 K팝 업계의 특성상 수익을 내기 적합한 구조인데요. NFT를 통해 한정판 콘텐츠를 만들면 팬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할 것이라는 분석 때문이에요.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이 앞다퉈 뛰어들고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에서도 NFT 적용이 가능해 이 안에서 앨범·콘서트 티켓을 사고파는 일이 일반화될 가능성도 열려 있어요.


엔터테인먼트업계 관계자는 “NFT로 만들 수 있는 콘텐츠에는 이론적으로 한계가 없기에 음악뿐만 아니라 포토카드 등 초상권 관련 콘텐츠, 나아가 스타의 각종 기록과 흔적도 자산으로 만들 수 있다”며 “특히 팬은 한정판에 약한데 NFT 굿즈를 구입하면 소유권도 증명할 수 있고, 이를 나중에 재판매할 수도 있어 수익성도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고 하네요.


그럼 내 아이돌한테도 NFT가 이득일까?

K팝 아티스트들에게도 NFT 발행이 물론 유리합니다! 아티스트가 자신의 음원이나 굿즈를 NFT로 제작해 판매하게 되면, 중개자 없이 수익을 직접 가져갈 수 있기 때문인데요. 실제로 그래미상을 받은 미국 록밴드 ‘킹스 오브 리온’은 NFT 신작 앨범을 내 2주 만에 200만달러(약 23억원)의 이익을 거뒀으니 그 수익률이 대단하죠? 또. 팝 가수 위켄드와 3LAU라는 이름으로 유명한 DJ 저스틴 블라우는 미공개 음악이 포함된 앨범을 NFT를 적용해 판매했고, 각각 229만달러(약 26억원)와 1700만달러(약 198억원)를 벌어들였다고 하네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대면 공연을 열지 못한 아티스트들에게 새로운 수익 활로가 열렸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MRC 데이터는 지난달 공개한 미국 음반시장 상반기 보고서에서 “NFT는 아티스트들이 음악과 아트워크를 유통하는 새로운 수익원이 되고 있다”고 했어요.


결론

다만 지나치게 높은 가격대와 무리한 수익화로 번질 가능성은 우려 요소로 꼽히고 있어요. 등장한지 얼마 되지 않았고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인 만큼 적정 가격과 여러 문제에서 그 기준이 모호한 상태이기 때문이에요. 앞으로 엔터업계가 NFT와 어떤 방향으로 성장해나갈지 지켜봅시다!



[출처: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1/08/16/6FTW7V2OZFCY7JRNMKZZJJRZI4/?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오늘의 포스팅, 유익했나요? 뉴스레터 디귿은 오늘의 포스팅 속 데이터 뉴스를 가지고 매주 화요일, 당신의 메일함으로 찾아간답니다! 뉴스레터 디귿을 구독하고 싶다면? 여기 클릭!


​ 👇코딩 없이 클릭만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싶다면? 스파이더킴!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Comentários


bottom of page